
네 반갑습니다.
저번 영상에서는 정밀농업에 있어서 1.최고의 정밀농업 드론시스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오늘은 정밀농업을 위한 드론 패키지의 두번째인 최고의 상용 분석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소프트웨어는 크게 아래 2가지 정도로 구분됩니다.
그 첫번째는 맵핑 분야의 소프트웨어 입니다.
드론을 활용하여 상공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를 2D 또는 3D로 재구성하여 전체적인 사이트의 상태를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.
일반적인 맵핑소프트웨어로 드론 항공 측량 뿐만 아니라 정밀농업의 식생 및 작물의 건강상태를 확인 하고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.
두번째는 정밀농업 식생상태를 표준화된 지수에서 부터 작물에 관련된 세부적인 지수까지 자동으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정밀농업 전용 소프트웨어 입니다.
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첫번째 영상에서 설명드린 촬영된 이미지에서 문제를 식별하고 결정을 하는데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.
다분광 카메라를 판매하는 많은 하드웨어 업체들은 자체적인 소프트웨어를 출시합니다.
하지만 여기에서는 되도록이면 특정 회사의 제품에만 국한되는 소프트웨어 보다는 범용적인 제품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그러한 소프트웨어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초기에는 이 두가지 프로그램을 구분하는것이 의미 있었지만 최근에는 사실 두가지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들이 대부분이라 구분 짓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생각됩니다.
뿐만아니라 데이터 취득에 사용하는 자동미션 플랜 APP들도 드론 및 소프트웨어 각 제조사 별로 다양하게 출시 되고 있으니 자유롭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그럼 정밀농업에 있어 최고의 상용 소프트웨어는?

1. 그 첫번째로 PIX4Dfields 입니다.
데이터의 촬영 프로세스부터 인덱스 생성, 지역구분 및 비교 기능 그리고 보고서 생성까지 가능한 소프트웨어입니다.
인덱싱 결과로는 가장일반적인 정규식생지수인 NDVI, 레드엣지 밴드의 지수인 NDRE 뿐만아니라
엽록소 민감도를 위한 TGI,
잎의 비율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베리(VARI)지수 등 다양한 인덱싱 결과를 표현해 줍니다.
게다가 상관 관계가 있는 밴드의 조합,
지수 공식을 입력하여 소프트웨어가 제공해주는 인덱싱 결과값 외 더욱 더 다양한 인덱싱 결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예를들면 컬러 적외선 지수인 CIR, 토양과 식물사이의 상호지수인 OSAVI, 녹색 엽록소 지수인 GCI,
공식은 (GCI = NIR / Green – 1),
적색 엽록소 지수인 RCI,
공식은 (RCI = NIR / Red – 1)와 같습니다.
등 각각의 밴드 조합을 통해 너무도 많은 유용한 인덱스 지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각 작물별로 유용한 지수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인덱싱 결과만 보여주는 것이 아닌 작물을 연구하고 분석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
필드의 인덱스 값을 플롯별로 디지털 수치값을 확인 할 수 있도록 .csv파일로 추출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.
그 외 클라우드를 통해 전세계 누구와도 빠르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.

2. 두번째로 Pix4d mapper 입니다.
가장 대중성이 높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
드론을 활용한 측량, 건설, 환경조사 및 농업 분야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.
위의 PIX4DFIELDS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PIX4D사의 제품으로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프트웨어입니다.
대중성이 가장 좋은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

3. 세번째로 Agisoft사의 Metashape입니다.
항상 자주 언급되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
전문가들도 많이 활용하는 소프트웨어로 확장성이 좋으며, 사용도 굉장히 직관적으로 되어 있습니다.
기능은 위에 언급한 프로그램들과 유사하며 다만 PIX4D에 비해 대중적인 인지도와 관련 튜토리얼 및 설명 자료 부분이 조금 부족한 편입니다.
그 외 전문적이고 특화된 정밀농업용 소프트웨어들이 많지만 선택의 혼돈을 줄이기 위해 간단히 위 3가지 소프트웨어 정도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이러한 상용 소프트웨어 외에도 국내 실정에 맞게 정부 연구기관 및 산업체에서 데이터를 취득하고 인덱싱하여 결과 까지 도출해내는 자체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
이는 앞으로 계속해서 발전될 수 있고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하는 개발이 가속화 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.
마무리하면서 이러한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인덱스 지수는 어디까지나 참고 자료입니다.
예를 들어 우리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, 모두 그렇치는 않지만 체온이 높을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이것은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질병의 하나의 증상일 뿐이지 체온이 높다고 해서 모두 코로나에 감염되었다고 단정하지 않듯이,
인덱스 지수는 어디까지나 참고 지표이며 이를 보고 식물이 병에 걸렸다라던지, 비료를 더 뿌려야 된다라고 단정하거나 예단하지 않습니다.
이러한 참고 지표와 현장 스카우팅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하여 종국에는 더 좋은 의사 결정에 이를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지표로 삼아야겠습니다.
오늘은 정밀농업을 위한 드론 패키지의 두번째 영상인 최고의 분석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다음 영상에서는 정밀농업을 위한 드론 패키지 3.운용 교육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네 반갑습니다.
저번 영상에서는 정밀농업에 있어서 1.최고의 정밀농업 드론시스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오늘은 정밀농업을 위한 드론 패키지의 두번째인 최고의 상용 분석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소프트웨어는 크게 아래 2가지 정도로 구분됩니다.
그 첫번째는 맵핑 분야의 소프트웨어 입니다.
드론을 활용하여 상공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를 2D 또는 3D로 재구성하여 전체적인 사이트의 상태를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.
일반적인 맵핑소프트웨어로 드론 항공 측량 뿐만 아니라 정밀농업의 식생 및 작물의 건강상태를 확인 하고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.
두번째는 정밀농업 식생상태를 표준화된 지수에서 부터 작물에 관련된 세부적인 지수까지 자동으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정밀농업 전용 소프트웨어 입니다.
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첫번째 영상에서 설명드린 촬영된 이미지에서 문제를 식별하고 결정을 하는데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.
다분광 카메라를 판매하는 많은 하드웨어 업체들은 자체적인 소프트웨어를 출시합니다.
하지만 여기에서는 되도록이면 특정 회사의 제품에만 국한되는 소프트웨어 보다는 범용적인 제품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그러한 소프트웨어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초기에는 이 두가지 프로그램을 구분하는것이 의미 있었지만 최근에는 사실 두가지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들이 대부분이라 구분 짓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생각됩니다.
뿐만아니라 데이터 취득에 사용하는 자동미션 플랜 APP들도 드론 및 소프트웨어 각 제조사 별로 다양하게 출시 되고 있으니 자유롭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그럼 정밀농업에 있어 최고의 상용 소프트웨어는?
1. 그 첫번째로 PIX4Dfields 입니다.
데이터의 촬영 프로세스부터 인덱스 생성, 지역구분 및 비교 기능 그리고 보고서 생성까지 가능한 소프트웨어입니다.
인덱싱 결과로는 가장일반적인 정규식생지수인 NDVI, 레드엣지 밴드의 지수인 NDRE 뿐만아니라
엽록소 민감도를 위한 TGI,
잎의 비율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베리(VARI)지수 등 다양한 인덱싱 결과를 표현해 줍니다.
게다가 상관 관계가 있는 밴드의 조합,
지수 공식을 입력하여 소프트웨어가 제공해주는 인덱싱 결과값 외 더욱 더 다양한 인덱싱 결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예를들면 컬러 적외선 지수인 CIR, 토양과 식물사이의 상호지수인 OSAVI, 녹색 엽록소 지수인 GCI,
공식은 (GCI = NIR / Green – 1),
적색 엽록소 지수인 RCI,
공식은 (RCI = NIR / Red – 1)와 같습니다.
등 각각의 밴드 조합을 통해 너무도 많은 유용한 인덱스 지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각 작물별로 유용한 지수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인덱싱 결과만 보여주는 것이 아닌 작물을 연구하고 분석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
필드의 인덱스 값을 플롯별로 디지털 수치값을 확인 할 수 있도록 .csv파일로 추출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.
그 외 클라우드를 통해 전세계 누구와도 빠르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.
2. 두번째로 Pix4d mapper 입니다.
가장 대중성이 높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
드론을 활용한 측량, 건설, 환경조사 및 농업 분야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.
위의 PIX4DFIELDS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PIX4D사의 제품으로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프트웨어입니다.
대중성이 가장 좋은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
3. 세번째로 Agisoft사의 Metashape입니다.
항상 자주 언급되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
전문가들도 많이 활용하는 소프트웨어로 확장성이 좋으며, 사용도 굉장히 직관적으로 되어 있습니다.
기능은 위에 언급한 프로그램들과 유사하며 다만 PIX4D에 비해 대중적인 인지도와 관련 튜토리얼 및 설명 자료 부분이 조금 부족한 편입니다.
그 외 전문적이고 특화된 정밀농업용 소프트웨어들이 많지만 선택의 혼돈을 줄이기 위해 간단히 위 3가지 소프트웨어 정도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이러한 상용 소프트웨어 외에도 국내 실정에 맞게 정부 연구기관 및 산업체에서 데이터를 취득하고 인덱싱하여 결과 까지 도출해내는 자체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
이는 앞으로 계속해서 발전될 수 있고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하는 개발이 가속화 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.
마무리하면서 이러한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된 인덱스 지수는 어디까지나 참고 자료입니다.
예를 들어 우리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, 모두 그렇치는 않지만 체온이 높을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이것은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질병의 하나의 증상일 뿐이지 체온이 높다고 해서 모두 코로나에 감염되었다고 단정하지 않듯이,
인덱스 지수는 어디까지나 참고 지표이며 이를 보고 식물이 병에 걸렸다라던지, 비료를 더 뿌려야 된다라고 단정하거나 예단하지 않습니다.
이러한 참고 지표와 현장 스카우팅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하여 종국에는 더 좋은 의사 결정에 이를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지표로 삼아야겠습니다.
오늘은 정밀농업을 위한 드론 패키지의 두번째 영상인 최고의 분석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다음 영상에서는 정밀농업을 위한 드론 패키지 3.운용 교육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